#1 익명
신고 삭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지난 주말 사이 잠행(潛行)을 마치면서 당 대표 출마 의지를 조금씩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이미지 정치'에 몰두할 뿐 비전 제시와는 거리가 있다는 당 안팎의 비판도 뒤따른다. 사실상 '비윤' 주자로 분류되는 상황에서 조직력 없이 당원들의 지지만으로 전당대회를 치를 경우 자칫 '현실 정치'의 쓴맛을 볼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제기된다.

윤석열 정부 초대 법무장관 출신이라는 것에서 따르는 정체성 논란, 임기 반환점도 돌지 않은 윤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도 한 전 비대위원장 앞에 놓인 숙제다. 아울러 공천 과정에서 쌓인 일각의 반감도 넘어야 할 산이다.

셀카 정치 이은 목격담 정치…조직력은 '글쎄'  
15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한 전 비대위원장은 당선인들과 접촉을 이어가는 등 잠행을 완전히 푼 모습이다.
공공장소에서 지지자들과의 자연스러운 만나는 것에 이어 원희룡 전 국토부장관과의 회동은 물론 당선인들과의 만남 일정도 잡고 있다고 한다.

이를 놓고 정치권에서는 한 전 비대위원장의 출마가 임박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전당대회 출마를 두고 원 전 장관과 만난 이유가 협력보다 경쟁에 초점이 맞춰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한 전 비대위원장이 이미 출마 결심이 굳어졌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표면적인 반응도 나쁘지 않다. 지지자들은 물론 한 전 비대위원장이 당에 영입한 당선인들을 중심으로 "나오기만 하면 룰(rule)과 상관없이 당선될 것"이라는 낙관론도 상당하다.

하지만 '대세론'이 현실화되기까지 한 전 비대위원장이 넘어야 할 벽은 낮지 않다.

온라인에서는 지지세가 두드러지지만 한 전 비대위원장의 '셀카 군단'이 바로 표(票)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조직력에 있어서는 다른 당권주자들에 비해 우위에 있지 않은 만큼 기존 지지자들 외에 친윤에 쏠린 전통적인 지지 세력의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한 전 비대위원장에 대한 현역의원들이나 일부 당선인들의 평가도 총선 전과는 부쩍 달라졌다.

'이·조 심판론'으로 대표되는 전략적 실책은 물론, 어떠한 담론도 제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차기 대권주자로서의 무게감이 많이 떨어졌다는 것.

국민의힘 소속 한 의원은 "싸움을 잘한다고 해서 좋은 리더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공천 국면에서 의원들의 민심을 잃은 측면도 크다. 일명 '지역구 재배치'를 통해 잡음을 최소화하기는 했지만 결과적으로 '덧셈의 정치'는 아니었다는 것이다. 재배치를 통해 원내 재입성에 성공한 후보는 사실상 김태호 의원 뿐이다.

당내에서는 텃밭인 서울 강남과 서초가 모두 물갈이 된 데 대한 반감도 없지 않다. 또 다른 의원은 "황교안 시절에도 시도했다가 실패한 전략을 되풀이한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고질적인 약점도 분명하다. 한 전 비대위원장은 윤석열 정부의 초대 법무장관으로, 지명 당시 "최측근에 대한 파격 인사", "소통령"이라는 평가가 뒤따랐다.
인선 배경에 대한 윤 대통령의 설명 역시 "절대 파격 인사가 아니다"라며 "(한 전 비대위원장은) 유창한 영어 실력으로 다양한 국제업무 경험도 가지고 있어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는 사법제도를 겸비해나가는 데 적임자"라고 두둔했다. 비판과는 동떨어진 답변으로 사실상 한 전 비대위원장이 최측근이라는 것만 더욱 강조됐다.  

이같은 꼬리표는 총선 국면에서도 부담이 됐다.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의 명품 가방 수수 의혹이 불거졌을 때 한 전 비대위원장은 "국민 눈높이"를 언급했다가 대통령실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수직적 당정 관계를 풀 수 있을 것이라는 당 안팎의 기대감은 한 전 비대위원장이 충남 서천을 찾아 윤 대통령에게 90도 폴더 인사를 하는 장면으로 순식간에 꺾였다.

이후에도 이종섭 전 호주대사와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회칼 발언 등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의 눈치를 보다 적기를 놓쳤고, 결국 "대통령에 할 말은 할 것"이라던 한 전 비대위원장의 발언은 공염불이 됐다.

총선 직후 윤 대통령의 식사 제안을 거절한 것을 놓고서는 계파와 상관없이 혹평이 쏟아졌다. 한 당선인은 "인기 없는 윤 대통령과 의식적으로 거리를 두려는 것은 다소 속 보인다. 오락가락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향후 자신의 정치적 거취를 염두에 둔 계산적인 행보에 마냥 좋은 평가를 주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이 과정에서 대통령실은 물론 친윤계와도 심적 거리가 더욱 멀어졌다. 특별한 계기 없이는 전당대회 국면에서 친윤계의 전폭적인 지지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태다.  

'친윤' 꼬리표를 달고 차기 대권에서 승리할 수 없는 만큼 의식적으로 윤 대통령과 거리를 두려는 한 전 비대위원장의 행보와는 달리, 두 사람의 지지율이 연동되어 나타났던 것 역시 고질적인 문제다.  

당 핵심 관계자는 "당정 갈등을 두 번이나 겪었는데도 정작 두 사람의 지지율은 예상과 달리 같이 움직이는 '커플링 현상'이 나타났다"며 "지금처럼 해 온 '이미지 정치'만으로는 풀 수 없는 숙제"라고 평가했다.
추천
댓글확인

날짜 제목 작성자 댓글 조회수 추천
24.05.30 둥둥이 보고 싶다 3
익명 24.05.30 12:55:06 198 2
24.05.30 JTBC 기자, 국힘 "특검 주장 논리모순"에 "그 말이 논리모순"
익명 24.05.30 12:33:44 48
24.05.29 돈없는 색기들이 인도왕 욕하노 12
익명 24.05.30 12:26:26 384 9
24.05.30 日, 한국과의 신뢰 다짐했지만… 물밑에선 네이버 압박↑
익명 24.05.30 12:16:26 52
24.05.30 "尹 멍청" 논란에…이준석 "나한테 싸가지 없다고 하면서"
익명 24.05.30 12:09:37 64
24.05.30 이철규 "尹 없었으면 한동훈도 없어…홍준표, 50 넘은 韓에 애? 심하다"
익명 24.05.30 12:07:34 53
24.05.30 이준석 "채상병 특검법 못 막아..김건희 특검·탄핵 빌미 자충수 될 것"
익명 24.05.30 12:03:04 57
24.05.30 초과이익 환수 삭제가 특혜라며 이재명 비난했던 국힘 김은혜 근황
익명 24.05.30 11:55:21 63
24.05.30 MB시절 복지부장관 "대통령이랑 통화할일 없어…이종섭 통화는 이례적"
익명 24.05.30 11:48:55 55
24.05.30 외교부 <일본 개황>에서 '역사 왜곡 발언' 사례 통째로 삭제
익명 24.05.30 11:40:56 52
24.05.30 [뉴스 '꾹'] '尹-이종섭 통화' 조중동도 발칵..중앙 "대통령 조사도 불가피"
익명 24.05.30 11:25:12 52
24.05.30 [오늘 이 뉴스] "대통령 거부권에 버려진 심정".."국힘은 만나주지도 않아"
익명 24.05.30 11:24:42 47
24.05.30 경기도, '수원 전세사기' 가담 중개업자 47명 송치
익명 24.05.30 11:24:15 44
24.05.30 잡부 필살기 꺼냈네 1
익명 24.05.30 11:21:52 114
24.05.30 그 노잼 방송 소리없이 방종 ㅋㅋ 3
익명 24.05.30 11:12:05 157 5
24.05.30 찬복이 친구 쓰러져서 걱정 많겠네 4
익명 24.05.30 10:49:35 157 1
24.05.30 김태흠 충남지사 “한동훈, 이준석과 똑같은 관종…안철수 폼생폼사”
익명 24.05.30 10:20:32 55
24.05.30 이준석 "윤, 국면 리드 위해 임기 단축 개헌 고민해야"
익명 24.05.30 10:17:59 51
24.05.30 중국 기차는 시간 지나면 교체는 되네 1
익명 24.05.30 10:15:12 67
24.05.30 김태흠, 한동훈 겨냥 "관종", "혼자 널뛰듯이 돌아다녀"
익명 24.05.30 10:11:12 54
24.05.30 젊은 여성 지방 떠난다, 이러니 '나솔'…저출생 뒤엔 무너진 성비 1
익명 24.05.30 09:36:26 112 2
24.05.30 배고프다 ㅠㅠ 4
익명 24.05.30 09:23:22 126 1
기본글
추천글